본문 바로가기
카드정보

2024년 재산세 카드 혜택 활용하여 납부하기

by 만능꾼 2024. 7. 17.

재산세 카드혜택
재산세 카드혜택

 
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(부동산, 선박, 항공기 등)을 소유하는 분들에 부여하는 지방세 중 하나로 1년에 2번 납부하게 되는데요. 총 2회 납부 중에 1회 차는 매년 7월, 2회 차는 매년 9월에 납부하게 됩니다. 7월과 9월에 납부하는 재산세 대상이 약간 차이가 있는데요 7월에는 주택(1/2 해당), 건축물, 항공기, 선박등에 부과되고 9월에는 주택(1/2), 토지에 해당하는 재산세를 납부하게 됩니다. 재산세가 현금으로 납부하면 좋겠지만 부담이 되거나 실속 있게 납부하고 싶다면 카드 혜택을 이용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. 이에 재산세 카드 납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재산세 납부기간

✔ 재산세 납부기간은 1년 총 2번 납부합니다.

✔ 통상 1 기분 : 매년 7월 16일 ~매년 7월 31일까지 납부

✔ 통산 2 기분 : 매년 9월 16일 ~ 매년 9월 30일까지 납부

구분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 납부대상
통상 1기분 매년 7월 16일 ~매년 7월 31일까지 납부 주택(1/2), 건축물, 선박, 항공기 등
통상 2기분 매년 9월 16일 ~ 매년 9월 30일까지 납부 주택(1/2), 토지 등

 

재산세 납부방법

재산세의 경우에는 지방세 종류의 하나로 각 지자체에서 재산세 대상에게 납부할 금액을 안내드립니다.

✔ 주택의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통상 1기에 전체 납부합니다.

✔ 재산세가 250만 원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할납부를 신청하여 납기일자 다음날부터 3개월 이내 납부합니다.

 

납부방법

-인터넷 납부 : 이택스(서울지역) 또는 위택스(서울 외 지역)

 

(바로가기 링크) 서울 지역 재산세 인터넷 납부 

(바로가기 링크) 서울 외 지역 재산세 인터넷 납부 

 

-무인공과금기 및 현금인출기(ATM기)를 통한 납부

-전용계좌서비스 이용하기(우리, 신한, 하나, 국민, 기업, 우체국, 농협, 수협, 시티은행,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)

-편의점 이용 납부 : CU, GS25, 세븐일레븐, 바이 더웨이(우리 BC, 삼성, 현대, 롯데, 하나카드만 가능, 현금카드 가능)

-ARS 이용 : 1599-3900 전화하여 납부 가능(계좌이체, 신용카드 13개사 납부)

-스마트폰 이용 납부가능(이택스 또는 스마트 위택스  모바일앱 설치한 후 납부, 계좌이체, 신용카드 13개사 납부 가능)

 

 (바로가기 링크) 구글 안드로이드 폰 다운로드

 (바로가기 링크) 애플 아이폰 iOS 다운로드

 

 

재산세 카드혜택

재산세가 부담될 경우 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는데요. 카드 납부가 가능한 곳은 인터넷 납부, 편의점 이용 납부(일부카드사), 스마트폰 모바일앱을 통한 납부, ARS를 이용한 납부 등입니다. 그렇다면 카드 납부 시 활용할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카드혜택 알아보기

✔ 국민카드 (KB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) : 국세/지방세 7,000원 환급

신한체크카드 : 납부전체금액 0.1% 현금으로 캐시백

BC바로카드 : 국세, 지방세 납부 시 이용금액에 따라 최대 1만 원 할인(마이태크 응모 후) 50만 원 이상 2천 원, 100만 원 이상 5천 원, 300만 원 이상 : 1만 원

 네이버페이 : 10만 원 이상 납부한 분 중 1만 명 추첨, 네이버페이 포인트 3천 원

NH농협카드 :2~3개월 무이자

SH수협, 광주카드, BC 카드 : 2~3개월 무이자

 부분 무이자: 우리 카드, 비씨카드, 하나카드, NH농협카드


재산세 납부기간 및 납부방법, 카드혜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재산세를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%의 가산세를 납부해야 하오니 이 점 유의하셔서 납부하시길 바랍니다.

반응형